장문의 자료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뇌피셜 명언 몇 줄 올리는 게시판이 아닙니다

다른 글이 그렇다고 따라 해서는 안됩니다


아이 명절증후군 예방법

아으 2008.09.13 23:44 조회 수 : 5171

출처  

1. 멀미가 있는 아이라면?

아이들은 귀 안에 있는 평형기관 발달이 미숙하고, 교통수단이 익숙하지 않아 멀미가 쉽게납니다.

속이 울렁거리고 머리가 아프고 먹은 것을 토하는 증상입니다.

차를 타기 전 소화되기 어려운 과자나 밀가루 음식, 기름진 음식은 멀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탄산음료와 아이스크림 등의 유제품을 같이 먹이면 쉽게 멀미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그리고 음식은 배가 약간 고플 정도로 조금만 먹입니다.

멀미 약은 탑승하기 한 시간 전에 복용시키며, 따뜻한 물로 위에 부담이 안되도록 조금씩 입에 적셔서 넘기면 제일 좋습니다.

또한 이동 중 창문을 닫고 좁은 공간에 오래 있다 보면 산소가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자주 문을 열어서 환기시킵니다.

승용차의 적정 실내 온도는 20~22℃정도로 바깥 온도와 5℃ 이상 차이 나지 않도록 합니다.

 

Tip. 멀미 예방 이렇게 하세요~

 

◆ 내관, 합곡, 태충혈을 지압해 주세요.

멀미할 때는 내관혈, 합곡혈, 태충혈 등을 지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내관혈은 손목의 손바닥 쪽 주름에서 팔꿈치 쪽으로 손가락 3개 너비 정도 내려와 팔의 두 뼈 사이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팔목부분 안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내관혈은 전통적으로 구역질이나 신물이 올라오는 등에 치료해 왔던 혈자리로 위장 기운을 편안하게 하여 멀미에 도움이 됩니다. 합곡혈은 손등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며 태충혈을 발등에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위치합니다. 합곡혈과 태충혈은 모두 기 순환을 돕는 혈자리입니다.

 

◆ 말린 생강 조각, 레몬, 매실 등을 준비해 주세요. 

멀미할 때 생강 말린 것을 1조각씩 입에 물면 속이 조금씩 가라앉는 효과가 있습니다.

레몬은 즙을 입에 묻히거나 향기를 맡는 것으로 멀미를 막아주고 가슴까지 시원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매실 역시 같은 효과가 있으므로 차 안에서 입에 물고 있거나 향기를 맡게 합니다.

 

2. 아토피 피부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라면?

이동하면서 먹는 음식이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휴게실에서 혹은 또래들과 어른들이 주는 인스턴트 음식은 피부가 예민해진 아토피 아이에게 피부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명절 음식 중에서도 특히 고기로 만든 전은 삼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을철 자외선도 조심해야 합니다. 자외선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아토피 피부가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외출 시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발라주고, 외출 후엔 청결과 보습을 지켜주세요.

 

3.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만약 감기에 걸렸다면?

가을에는 기온 차이가 심해 당장 덥다고 짧은 옷만 준비하면,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감기에 걸리기 십상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긴 팔, 긴 바지 겉옷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만약 감기에 걸렸다면 따뜻한 계피차나 생강차를 보온병에 담아서 수시로 입에 적셔서 몸을 따뜻하게 해 주시면 좋습니다.

 

4. 꽃가루 알레르기나 비염이 있는 아이라면?

알레르기나 비염이 있는 아이들은 한번 재채기가 나고 콧물이 나기 시작하면 쉽게 멈추지 않습니다. 귀성길 떠나기 전,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소청룡탕’ 을 상비약으로 처방 받아 증상이 있을 때 사용하시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양약과는 달리 몸에 해가 없으면서 증상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5. 산소에 가거나 사촌들이랑 밖에서 놀다가 벌레에 물렸다면?

벌레에 물리면 먼저 흐르는 물에 물린 부위를 깨끗이 씻어내고 말린 다음, 벌레 물린데 사용하는 물파스를 30분 간격으로 3~4번 발라줍니다. 물린 곳은 많이 간지럽기 때문에 손으로 긁을 수 있으므로 손톱을 짧게 잘라주고 손이 더럽지 않도록 씻겨주시면 좋습니다.

 

6. 설사가 있는 아이라면? 혹은 평소 먹지 않던 음식으로 설사에 걸렸다면?

설사를 하면서 열이 나고 구토도 있는지 먼저 보셔야 합니다. 이렇게 장염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병의원이나 한의원에 찾아가시면 됩니다. 찬 음식이나 안 맞는 음식으로 설사를 한다면 미음, 죽과 같은 유동식으로 바꾸고, 설사가 나을 때까지 따뜻하게 먹이셔야 합니다.

대추를 넣은 구기자차나 마죽을 먹이는 것도 속을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7. 소아 비만 아이라면?

음식 조절이 중요합니다. 가을은 먹을 것이 많아지고 식욕이 돋는 계절임을 생각해서 칼로리가 낮고 쉽게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음식으로 섭취하게 하고 야채를 많이 먹게 해야 합니다.

또한 기름진 명절 음식을 먹을 때 녹차나 홍차를 함께 먹도록 하면 체내에 쌓인 기름기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됩니다.

 

8. 아이가 과식으로 배탈이나 소화불량이 생기지 않으려면? 혹은 생겼다면?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특히 새로운 음식이나 새로운 음료수는 반드시 조금 먼저 먹어보신 후에 부담이 가지 않을 종류만 먹이도록 합니다. 혹 배탈이나 소화불량으로 힘들어 한다면 엄지발가락 끝부분과 안쪽 아랫부분을 꼭 눌러주고, 발 끝을 따주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가까운 한의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으시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9. 장시간 이동으로 아이가 피곤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틈나는 대로 잠을 재우세요. 장시간 이동은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피곤함을 호소합니다.

약간의 카페인이 들어있는 녹차나 홍차를 시원하게 보관했다가 목이 마를 때나 피곤해 할 때 한 모금씩 입에 적셔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1∼2시간에 한번쯤은 차에서 내려 신선한 공기를 마시게 합니다. 간단한 체조나 심호흡, 스트레칭을 시키는 것도 좋습니다. ∆

허리를 숙여 손가락을 발끝에 대거나 팔을 들어 귀에 붙이고 반대편으로 몸을 펴주는 옆구리 운동 무릎을 굽혔다 펴기 등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저도 멀미 떔에 매우 고생인데. .  조금은 나아질것 같네용 ㅎ 시골에 안내려가니 모 멀미할경우도 없겟지만



이 글이 마음에 들면 추천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지식정보 게시판 공지사항입니다.[안보시면 후회합니다. 꼭 보세요.] [12] 블랙유키 2007.02.21 45417
공지 새 포인트 제도 시행 및 사이트 개편 안내 [94] 차니 2018.01.15 29261
공지 강퇴자 목록 26명 (3월 18일 이후 경고누적자) [30] 차니 2017.04.25 25446
237 춤잘추는방법 [7] 나는비소리바 2007.02.16 2383
236 많이 틀리는 맞춤법 [8] 위크 2007.02.14 2406
235 딸꾹질 멈추는법,, [아래글은 너무 고통스러운거같아서,,. [5] 그레치 2007.03.04 2425
234 갈치는 살아있을 때 꼿꼿이 서 있다 [4] 아으 2007.02.20 2426
233 식은치킨다시바삭하게! 이쁜이란다 2016.11.02 2509
232 브라질에서 (O.K) 싸인은 ... [6] 레인보우데이 2007.01.31 2514
231 날씨가 추울때 인사를 하면 ;ㅁ; [4] 레인보우데이 2007.01.31 2523
230 마라톤 도중 화장실을 간다? [1] 아으 2008.08.27 2545
229 [이벤트][추리] 왜 자살 했을까? [5] 햄과콩이 2007.03.04 2548
228 낮잠은 건강을 지킨다. [4] 크로스윈 2007.03.06 2604
227 눈을뜨고 재채기를 하면 눈이 빠진다..?! [4] 레인보우데이 2007.01.31 2618
226 참새는 한발로 뛰지 못한다구 하는데!!! 아으 2008.08.25 2641
225 최초의 지진 [4] 크로스윈 2007.03.08 2648
224 알아두면 좋은지식 몇가지요 [11] 하늘지키미 2007.01.31 2651
223 딸꾹질 멈추는 법 [7] 홧끈 2007.03.03 2671
222 녹말용액은 낮은소리에 꿈틀거린다그리고 단단하다 [4] 아으 2007.03.06 2685
221 옆으로 누워서 자면 안되는이유 [3] 몰라 2017.03.04 2698
220 그리스 신화 여행(5) [1] 햄과콩이 2007.03.11 2701
219 우리나라 스웨덴 월드컵할떄 [2] 아으 2007.03.13 2706
218 유치원, 어린이집, 놀이방 어떻게 다른가 [3] 크로스윈 2007.03.14 2738